My Image

영화 이야기 포스팅

상업영화 제작부 막내의 이야기: 촬영현장에서 어떤 일을 할까?

Doyeon0430 | 2023년 06월 13일

영화이야기 이미지

이번시간에는 상업영화 제작부 막내가 프로덕션에서 경험한 일을 적어보겠습니다.

상업영화는 크랭크인부터 크랭크업까지 적게는 3개월에서 많게는 6개월까지 걸립니다.

그 과정에서 제작부 막내가 어떤 일을 하는지 알아보며 느낀점을 남기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1. 제작부 프로덕션 - 현장 관리 및 통제
  2. 제작부 프로덕션 - 부식 세팅
  3. 제작부 프로덕션 - 식사 인원 파악
  4. 제작부 프로덕션 - 비품리스트 정리
  5. 제작부 프로덕션 - 개인적인 후기

 

 

1. 제작부 프로덕션 - 현장 관리 및 통제

상업영화에서 연출부는 촬영 안을 책임지고 제작부는 촬영 밖을 책임집니다.

 

영화 프로덕션 이미지 1

배경부터 소리까지 신경써야할게 많기 때문에 숏이 들어가면 사람들이 예민하고 날카로워 집니다.

제작부는 주로 부장님이 정해주신 장소로 가서 사람이나 차량에 양해를 구하고 통제를 진행합니다.

그러다보니 북적한 시내같은 로케이션이 나오면 보기만해도 막막해집니다.

 

 

2. 제작부 프로덕션 - 부식 세팅

제작부는 촬영에 힘낼 수 있도록 배우와 스태프에게 과자와 음료수를 제공합니다.

그래서 매 촬영마다 테이블에는 과자를 아이스박스에는 음료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영화 프로덕션 이미지 2

하루 촬영은 평균적으로 8시간에서 12시간씩 쉬지않고 진행합니다.

이렇기 때문에 현장에 있는 스태프분들은 항상 지처있습니다.

제작부는 그들을 위해 편의를 제공해서 넉넉한 부식을 준비합니다.

나름 보람찬 일을 해서 기분도 좋아집니다.

 

 

3. 제작부 프로덕션 - 식사 인원 파악

배우와 스태프들을 미리 파악하고 밥차 사장님이나 식당에게 인원수를 전달합니다.

 

영화 프로덕션 이미지 3

주로 촬영 중 씬이 끝난 후 다음 로케이션으로 가기 전 식사를 진행합니다.

근처 식당을 섭외하거나 시골이나 한적한 장소일 경우 밥차를 부릅니다.

그때 사장님께는 오차범위 5명에서 10명까지 추가해 인원수를 파악하고 알려드려야 합니다.

만약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식사 지연이 발생하므로 촬영에 큰 피해를 끼치게됩니다.

그래서 책임감이 큰 업무입니다.

 

 

4. 제작부 프로덕션 - 비품리스트 정리

필요한 소품을 미리 가지고있다가 현장 스태프가 요청하면 바로 제공해줍니다.

 

영화 프로덕션 이미지 4

촬영장에는 예상치 못한 일들이 발생합니다.

비가 오면 우산이나 우비, 사람이 다치면 구급상자, 바다에 들어가면 수건, 날씨가 추우면 난로나 핫팩 등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이런 경우의 수를 생각해서 제작부는 미리 소품들을 준비해놓고 있어야 합니다.

 

 

5. 제작부 프로덕션 - 개인적인 후기

영화 현장은 자칫하면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항상 예민하고 날카롭습니다.

그래서 매 촬영마다 힘들고 기가 빨리며 정신이 없습니다.

제작부는 촬영시작 전 일찍 출근해서 주차자리를 확보하고 현장을 세팅합니다.

촬영이 끝나면 사용한 장소를 청소까지하는 불철주야 고생하는 부서입니다.

이렇듯 필자는 이른 나이에 세상의 냉정함을 깨달으며 기술의 중요성을 느꼈습니다.

그렇게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전공을 살려 기술과 자격증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가끔씩 제가 참여한 영화를 커뮤니티에서 보면 뿌듯한 기분을 느낍니다.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간편 댓글 작성

My Image My Image My Image My Image